저자: 안미린
제목: 빛이 아닌 결론을 찢는
발행일: 2016년 9월 9일
출판사: 민음사
판매가: 9,000원
잔여수량: 1 / 10
[목차]
1부 라의 경우
반투명
라의 경우
우산의 안
슈거 러시(Sugar Rush)
장 롱
청교도
헤아의 팔
미미크리(Mimicry)
크리놀린(Crinoline)
워터 베어(Water bear)
서 있는 새
우유 수염(Milk Mustache)
투명한 연보라 흰
눈 사람
멀리의 감각
유령 운동
높 낮이
점선들
2부 거의 전부의 흔들리는 중심
비세계
0의 자리
납 인형
거의 전부의 흔들리는 중심
층층
다른 다리
어떤 보온
그 나라의 눈 씨들
밑줄이 번진다
온음계
뼈미로
종이 비행
먼 흰
미맹(味盲)
혀말기
감정선(感情線)
공진화
비슷
카라멜의 뜻
물들
오로라 오로라
무척추
깊이 보이는 보이는 깊이
초대장 박쥐
3부 유니베이지(Univeige)
겹 겹
흐린 기린
무생물
서서히 너희
반비례
버팔로의 가르마 가르마
컬러풀(Colorful)
사슴 셋
거인의 원본
풀장
게릴라 가드닝(Guerrilla gardening)
분명 너의 이론
유니베이지(Univeige)
발루니스트(The Balloonist)
작품해설 / 조강석
무수히 문들인 시적 ‘틀뢴’
[작가 소개]
* 안미린
https://twitter.com/chococogito | https://www.instagram.com/chococogito/

198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. 2012년 《세계의 문학》으로 등단했다.
시인은 섬멸된 세계나 소멸된 인간을 시에 불러옴으로써 돌부리에 걸려 엎어진 진화의 길목들을 보여주는데, 이 자리가 시적 화자가 일기를 쓰는 자리다. 시인 스스로가 말한 것처럼 '사라진 일기를 찾는 방법은 모레의 일기'를 미리 쓰는 것이니까.
/ 김혜순 시인